교육학

교육평가(평가의 유형Ⅴ)

랑디부인 2023. 12. 9. 17:48

교육평가의 유형 중 과정중심평가에는 형성평가, 수행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자기평가, 동료평가가 있습니다. 과정중심평가 중 수행평가에 대한 내용은 앞서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과정중심평가 중 포트폴리오 평가와 자기평가에 대해 알아보고 과정중심평가를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과정중심평가 중 포트폴리오평가

○ 포트폴리오 평가
○ 루브릭

○ 자기평가

 

포트폴리오 평가

포트폴리오란 학습자가 만든 작품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모아둔 작품집을 말하며, 이러한 작품집을 통해 학생의 노력, 성장, 성취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포트폴리오 평가라고 합니다. 즉, 서류철을 이용한 평가라고도 하며, 학습자의 발달과정 전체를 종합적으로 평가가 가능합니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하는 목적은 학습자 관점과 교수자 관점에서 나누어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학습자의 관점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하는 목적은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주체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동적인 학습자에서 능동적인 학습자로 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학습자의 성장을 자신이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감을 키울 수 있고, 창의성 및 통찰력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교수자인 교사의 관점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하는 목적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수업방법 개발과, 개별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분명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서 입니다.

 

포트폴리오 평가의 장점으로는 학습자가 실제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수업과 평가를 실제적으로 연계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행 과정과 결과를 모두 평가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습자가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하며 포트폴리오 항목 및 구성방법 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율성을 갖게 되며, 하생 스스로가 성장과 변화의 과정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도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습 결과를 평가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및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포트폴리오 평가의 단점으로는 채점자의 주관이 개입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신뢰도와 객관도 확보에 어렵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평가도구 개발, 채점기준표 작성, 평가 실시, 채점까지 많은 단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 뿐 아니라, 평가 항목도 많아져 점수 배점 및 기준을 세우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채점과 평가도 힘듭니다. 이런 단점은 루브릭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루브릭

루브릭이란 학습자의 학습결과물이나 성취 정도, 즉 학습의 수행 과정과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평가 척도로, 과제의 평가 준거와 다양한 수행의 질 또는 수준의 단계가 상세히 기술된 준거참조평가도구입니다. 루브릭의 장점은 구체적은 평가 기준을 제공하여 평가의 객관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학습자의 수행 특성을 세세하게 나누어 학습자의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발전의 가능성과 방향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학습자에게 학습 목표에 맞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어 학습자의 자기 조절 학습 태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자기평가

자기평가란 학습자가 평가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본인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학습자가 스스로 평가를 하면서 본인의 인지 수준 및 학습 전략을 성찰하는 메타인지가 발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사의 평가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자기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사전 교육이 필요합니다. 또한 자기 평가의 결과과 다른 지필평가나 동료평가 등의 평가들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