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교육심리학(학습동기 Ⅲ)

랑디부인 2023. 11. 16. 09:00

앞서 학습동기 인지주의 관점의 이론들 중 자기결정성이론, 목표지향이론, 귀인이론, 학습된 무기력의 이론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학습동기 인지주의 관점의 이론들 중 기대x가치이론, 자기효능감, 자기가치이론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대x가치이론
자기효능감
자기가치이론

 

기대 x가치이론

에클스와 위그필드가 주장한 기대x가치이론은 개인은 마주한 상황에 대한 믿음과 가치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자신의 태도를 수정하고 발전시킨다는 이론으로, 자신이 과제를 성공할 것이라는 기대와 과제의 성공에 부여하는 가치를 곱한 값만큼 동기화된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성공에 대한 기대 혹은 과제의 가치를 높여야 합니다.

 

기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목표, 과제난이도, 자기도식, 정서적 기억이 있습니다. 목표는 구체적이고 단기적일 때 성공에 대한 기대가 높아집니다. 자기도식이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과 자기개념을 반영하는 것으로 자기도식이 긍정적일수록 성공에 대한 기대가 높아집니다. 정서적 기억이란 과거의 경험으로 인해 개인이 가지는 감정으로 긍정 혹은 부정의 태도를 이끌어냅니다. 성공에 대한 기대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성공적인 경험, 도전적인 과제, 구체적이면서도 긍정적인 피드백 등을 제공하고 구체적인 장기 및 단기 목표를 설정하여 제시해야 합니다.

 

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내재적 흥미, 달성가치, 효용가치, 비용이 있습니다. 효용가치란 미래의 목표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내재적 흥미, 달성가치, 효용가치가 높고, 가치가 비용보다 높다고 인식할 때 학습동기가 높아집니다. 과제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과목의 중요성 강조하고 미래의 직업선택과 목표 성취에서의 유용성 강조해야합니다. 

 

자기효능감

반두라가 주장한 자기효능감이란 특정한 과제를 일정 수준까지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과 믿음을 말합니다. 즉,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인지적인 판단으로, 자신의 경험과 환경을 인지적으로 해석하며 자기효능감이 형성됩니다. 이렇게 형성된 자기효능감은 학습자의 행동과 성취에 영향을 끼친다고 설명합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가 실패 상황에 놓였을 때 부정적인 정서와 자기효능감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데, 이를 자기효능감의 탄력성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습자는 실패 상황에 놓였을 때 부정적인 정서로 인해 수행에 집중하지 못하며 상황을 회복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려 낮은 자기효능감은 학습자의 발전을 저지합니다.

 

자기효능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성취 경험, 대리 경험, 사회적 설득, 생리적 지표 4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성취 경험은 이전에 학습작 유사한 과제를 수행했던 경험을 말하며, 4가지 중 자기효능감에 가장 영향력이 큽니다. 대리 경험은 대상이 되는 모델의 수행을 관찰하며 대리로 경험해보는 것입니다. 대리 경험은 성취 경험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에 큰 영향을 미치며, 모델의 대상과 학습자가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록 대리 경험의 효과가 커집니다. 사회적 설득은 다른 사람의 격려나 피드백을 말합니다. 설득은 언어적이거나 비언어적 표현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설득을 하는 대상이 전문적이고 유능하며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일 때 효과가 커집니다. 생리적 지표는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나는 신체적, 정서적 반응 등의 생리적 현상으로, 과제를 수행할 때 적당한 각성과 긴장, 즐거움 등의 긍정적인 정서와 신체 반응을 인지할 때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반대로 과도한 긴장, 불안 등 부정적인 정서와 신체 반응을 인지하면 자기효능감이 낮아집니다.

 

자기가치이론

모든 인간은 본인을 가치 있는 유능한 존재로 인식하고 싶어하며, 이러한 자기 가치를 보호하려는 욕구가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여 학습동기와 연결된다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경쟁적인 상황에서 자기 가치가 훼손될 위협을 받으면 자기장애 전략을 사용하여 보호하려고 하기도 합니다. 자기장애 전략이란 자기가 가치 있는 존재라는 것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으로, 의도적인 결석, 자발적으로 대답하지 않기, 노력하지 않음을 보여주기, 인상관리 전략, 성취 불가능한 목표 설정, 부정행위 하기 등의 행동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자기장애 행동들을 통해 본인이 원래는 가치있는 사람이지만 표현하거나 노력 및 행동을 하지 않았을 뿐이라는 내용을 함축합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학(인지발달이론)  (2) 2023.11.19
교육심리학(학습동기 Ⅳ)  (2) 2023.11.17
교육심리학(학습동기 Ⅱ)  (4) 2023.11.15
교육심리학(학습동기Ⅰ)  (5) 2023.11.14
교육심리학(창의성)  (2) 2023.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