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교육사회학(거시적 관점Ⅱ)

랑디부인 2023. 11. 27. 17:33

교육사회학에서 교육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거시적 접근 중 긍정적인 관점인 기능론과 기능론이 강조하는 사회화의 여러 이론에 대해 앞서 살펴보았습니다. 사회화와 마찬가지로 기능론에서 강조하는 인력양성과 배치에 관한 관점, 즉 학력 사회를 설명하는 내용에는 어떠한 이론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학습욕구이론
기술기능이론
○ 인간자본론
○ 지위경쟁이론

 

학습욕구이론

학습욕구이론이란 매슬로우의 동기이론의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의 욕구, 자존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알고 이해하려는 욕구, 심미적 욕구인 7단계의 욕구를 근거로 설명하는 이론으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하위 욕구인 생리적, 안전 등의 욕구 단계를 거치면서 교육을 받고자 하는 욕구가 커진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학교 교육에 한계를 제시하며, 학교가 제대로 된 학습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 입증하기 어렵다고 주장합니다. 

 

기술기능이론

산업사회는 기술의 수준이 발전하면서 기술사회가 되었고, 이러한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변화는 숙련된 기술자와 직업적 전문가들을 요구하게 되어 교육이 이러한 인재를 배출해야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따라서 학교 교육은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들을 가르치게 되었고, 사회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요구하는 수준의 향상되어 학력 수준이 상승하였으며, 따라서 학교 교육도 팽창하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점점 고학력자가 증가하고 사회가 요구하는 수준 이상의 학력이 요구되고 있는 현대사회의 과잉학력현상에 대한 설명이 어렵다는 한계를 가집니다. 

 

인간자본론

인간자본론은 인간을 자본으로 보아, 교육을 통해 더 많은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인간일 수록 경제적 가치는 더 증가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교육을 미래에 돌려받을 수 있는 장기적인 투자로 보았습니다. 학력, 교육을 통한 지식과 기술 보유에 따라 생산성이 달라지고 이로 인한 수입의 차이를 근거로 설명합니다. 인간자본론은 교육 수준이 높아지면 개인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생산성 증대는 곧 개인의 소득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국가의 사회, 경제를 발전시킨다고 생각합니다. 

 

지위경쟁이론

지위경쟁이론은 학력이 지위 획득을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여, 지위를 획득하기 위한 경쟁으로 학력이 팽창한다고 설명합니다. 사회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학력이 높은 사람을 유리한 위치에서 진로와 직업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높은 학력을 갖는 것을 우선순위에 두어 학력 팽창의 배경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사회학(미시적 관점)  (1) 2023.11.29
교육사회학(거시적 관점Ⅲ)  (0) 2023.11.28
교육사회학(거시적 관점Ⅰ)  (0) 2023.11.23
교육심리학(도덕성발달이론)  (0) 2023.11.22
교육심리학(성격발달이론)  (0) 2023.11.21